与虎相关的韩国俗语的汉语表现形式毕业论文(编辑修改稿)内容摘要:

에서 범에 대한 속담 을 정리 하고 그의 표현하는 중국어 형식을 찾아 더 쉽게 속담을 이해할 수 있다 . 그리고 이를 통해서 한중 범에 관한 속담의 공통점과 차이점 도 알 수 있 고 두 언어간의 대역에도 도움이 된다 . 延边大学本科毕业论文 3 제 2 장 속담의 개념과 특징 속담이란 글자 그대로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익어진 토속적인 표현의 말이다 . 한 민족의 오랜 역사와 더불어 함께 해 온 삶의 모습과 지혜가 솔직하고 담백하게 담긴 속된 말로 ,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어 온 소중한 언어 유산이다 . 넓은 의 미의 속담은 서민들의 생활에서 만들어진 구비전승 (口碑傳承 )의 언어와 성현들이나 작가 , 지식인들의 명언이나 고서 등에서 인용한 것은 물론 , 오늘날 일정한 형태 속에 항간에 떠돌아다니는 모든 형태의 말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. 좁은 의미에서의 속담은 교훈 기지 상상 경계 비유 풍자 등을 바탕으로 통속적이고 진솔함이 깃든 구비전승의 언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, 언중 (言衆 )의 경험과 지혜와 교훈에서 우러난 진리를 지닌 간결하고 평범하며 은유적인 표현의 관용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. 속담 , 그것은 우리의 일상 생활과 함께 생사를 같이하며 , 우리의 삶을 한결 윤택하고 아름답게 , 그리고 여유롭고 멋스럽게 해주는 우리들의 영원한 동반자요 , 우리들의 친근한 벗이다 속담의 특징 : 첫째 , 발생과정에서 볼 때 속담은 민요나 마찬가지로 그 작자를 알 수 없는 사회적 산물인 것이다 . 따라서 이는 한 사회집단 공유물로서 구전에 의한 전승 , 발달 과정에서 수정 , 보완 , 풍화 (風化 ) 등의 경로를 밟기 마련이다 . 둘째 , 형식상 극 히 단순 , 간결하다 . 이는 의도하는 바를 촌철 (寸鐵 )의 묘 (妙 )로써 표현하여 언어 경제에 크게 기여한다 . 셋째 , 수사법상 풍부한 은유와 상징으로 언어 생활을 윤택하게 한다 . 넷째 , 내용상 민족성 , 인생관 , 시대상 , 사회상 , 향토성 등을 반영한다 . 나날이 세련되고 압축되며 , 그 시대에 적응한다는 면에서 표현내용은 다소 가변적일 수 있다 . 延边大学本科毕业论文 4 다섯째 , 기능상 민중의 신념 , 세태의 풍자 , 처세훈 등 일반대중의 생활철학을 반영하며 ,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여 인생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. 즉 , 속담은 인간의 특수한 체험을 해부하고 종합한 결정체로서 이를 일반화하여 자기반성을 재구성한 것이다 . 여섯째 , 사용자층이 광범위하고 사용빈도수가 높으며 분포상의 제약이 없다 범의 특성 (特性 ) 및 상징 (象徵 ) 홀로 고독함을 즐기고 가능하면 넓은 영역을 확보한다 . 호랑이는 건국신화에 등장하여 곰과 함께 사람이 되고자 하였으나 조급하여 금기를 지키지 못해 실패했다 . 이는 범 부족이 곰 부족에게 패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 다 . 후백제의 견훤이 유아 때 호랑이가 젖을 먹였다 하여 영웅의 보호자이며 창업의 조력자로 부각시켰고 , 고려 태조의 5 대조 호경 (虎景 )이 굴속에 잠을 자다가 굴 입구에서 호랑이가 크게 울부짖었다 . 이에 호경이가 밖으로 나왔더니 호랑이는 보이지 않고 굴이 무너졌다 . 여기서 호랑이는 신의 사자 또는 신 자체로 등장한다 . 호랑이 숭배사상과 산악 숭배사상이 융합되어 산신 (山神 ) 또는 산신의 사자를 상징하여 산신당의 산신도로 나타나 있는 등 한국 민족에게 신 수 (神獸 )로 받들어진 것은 오래 된 일이다 . 호랑이의 용맹성은 군대를 상징하여 무반 (武班 )을 호반 (虎班 )이라 하였다 . 호랑이는 병귀나 사귀 (邪鬼 )를 물리치는 힘이 있는 것으로 믿어져 호랑이 그림이나 호 (虎 )자 부적을 붙이면 이를 물리친다는 속신 (俗信 )이 있다 . 인간의 도움을 받으면 은혜를 갚기도 하는 등 친근하게 알려져 왔고 , 신령 (神靈 )스러운 신 (神 )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속신 (俗信 )이 있다 . 호랑이는 인간의 효행을 돕거나 인간의 도움을 받으면 은혜를 갚고 , 성묘하는 효자를 등에 실어 나르거나 시묘살이하는 효자를 지키며 , 은혜를 갚기 위해 좋은 묏자리를 찾아주기도 한다는 속신 (俗信 )이 있다 . 이는 호랑이를 효와 보은의 동물로 묘사한 것이다 . 문학에서 호랑이가 인간사회를 질타 , 풍자하는 심판자로 등장 하기도 한다 . 延边大学本科毕业论文 5 제제 3 장 범에 관한 속담의 분류 직역 법으로 표현하는 속담 1 범굴에 들어가야 범도 잡는다 ./ 범굴에 들어가야 범을 잡는다 ./ 범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도 잡는다 . ①큰 일을 하려 면 모험을 무릅쓰고 해야 성공한다는 뜻 . ②큰 일을 할 때에는 모험도 각오하고 해야한다는 뜻 . 범의새끼를 잡으려면 범의 굴에 들어가야 잡듯이 , 큰 일을 하려면 모험도 각오하고 해야한다는 뜻 . 중국어 표현혀식 :不入虎穴 /不入虎穴焉得虎子 /舍不着孩子套不着狼 2 범 길러 화를 입는다 . 화근이 있는 일을 하면 필경에는 화를 당하게 된다는 뜻 . 중국어 표현혀식 :养 虎 遗 患 /养 虎 为 患 /斩 草不除根 ,遗 患无 穷 ./事留 祸 根,引火上身。 3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범은 죽으면 가 죽을 남긴다 . /호랑이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. 중국어 표현형식 : 虎死留皮,人死留名 4 Ex: 범에게 열두 번 물여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. 위험한 처지에 있더라도 정신만 잃지 않고 있으면 살 길이 생긴다는 뜻 . 고생스러운 일이 연속적으로 닥치더라도 굳센 용기를 발휘하면 극복할 수 있다는 뜻 . 중국어 표현형식 :不怕被虎咬,只要不慌神。 5 Ex:범에게 물려갈 줄 알면 누가 산에 간다더냐 ? ①무슨 일이나 실패할 것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실패할 리가 없다는 뜻 . 범에게 물려도 큰 범에게 물리는 것이 낫다 . ②무슨 일이나 높은 사람하고 일하는 것이 실패를 해도 낫다는 뜻 . 중국 어 표현형식 :若知被虎咬, 谁还 向山行 延边大学本科毕业论文 6 6 범도 위엄을 잃으면 쥐로 뒨다 . ① 세도를 부리던 사람 몰락하면 사람들이 멸시하게 된다는 뜻 . ② 체신을 지키지 못하면 남들이 비뭇게 된다는 뜻 . 중국어 표현형식 :老虎丢掉威严 ,变成老鼠 7 범 없는 산에서 살쾡이가 범 노릇한다 ./범 없는 산에서는 살쾡이가 왕 노릇한다 ./범 없는 산에서는 토끼가 왕 노릇한다 ./ 범 없는 골에선 토끼가 스승이다 . 의미 :지배하던 사람이 없어지면 다른 사람이 대신 지배하게 된다는 뜻 . /강자가 없어지면 그 중에서 강한 사람이 대리로 일을 계승하게 된다는 뜻 . 중국어 표현형식 :深山无老虎,兔子也成精 /山中无老虎 ,猴子称大王 ./反客为主。 8 범도 제 말하면 된다 ./ 범도 제 말하면 오고 ,사람도 제 말하면 온다 ./범도 제 말하면 온다 . 의미 :。
阅读剩余 0%
本站所有文章资讯、展示的图片素材等内容均为注册用户上传(部分报媒/平媒内容转载自网络合作媒体),仅供学习参考。 用户通过本站上传、发布的任何内容的知识产权归属用户或原始著作权人所有。如有侵犯您的版权,请联系我们反馈本站将在三个工作日内改正。